비평

2023
• 문혜진, “이전에 간 적이 있지만 애써 머무르지는 않은 어떤 곳”, 침묵의 소리 전시도록,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

2022
• 김수진, « 김순기, 프랑스에서 활동하는 한국 작가 : 저항의 형태와 같은 예술 », Archives of Women Artists, Research and Exhibitions, 파리

2021
• 장-미셸 라바테, “김순기와 사물들의 공감”, 김순기와의 만남: 글모음, 1975-2021, Slought, 필라델피아
• 김순기, “장-룩에게”, 김순기와의 만남: 글모음, 1975-2021, Slought, 필라델피아

2020
• 김영주, “김순기의 아날로그 핀홀 사진의 재발견”, 월간 사진, 서울 (PDF)
• 문혜진, “이쪽도 저쪽도 아닌 기원을 찾아서”, 김순기와의 만남: 글모음, 1975-2021, Slought, 필라델피아
• 장 뤽 낭시, “이 날”, 김순기와의 만남: 글모음, 1975-2021, Slought, 필라델피아

2019
• 이수정, ““아무것도 없는 것을 가지고, 순간을 따라서, 일상과 만나는 작업, 사람들과 함께 하는 일”에 대해”, 게으른 구름 – 김순기 전시도록,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문혜진, “비디오-O 시간-그의 자리”, 게으른 구름 – 김순기 전시도록,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김형순, “[국현] 김순기 ‘게으른 구름’ 전: 국현은 개집(?)”, 2019. 8. 30 (Link)
• 한송이, “김순기의 ‘멀티 미디어’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8
• 전지영, “김순기의 O을 향한 여행”, O Time 제로타임 전시도록,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

2017
• 전유신, “프랑스 미술관의 관계를 통해본 전후 한국미술 – 한국 미술가들의 프랑스 진출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 김만나, “Bonjour, Soun Gui Kim”, Heritage Muine, 서울, 2017 (PDF)
• 류정화, “김순기, 보이니? 들리니?”, Noblesse, 18호, 2017년 6월호, 서울 (PDF)

2016
• Wai-Lim YIP, “Kim Soungui and the Daoist Horizon of Great Wu 大無, the Undifferentiated (W)holistic Composition of All Things”, 虛, 無, 靜에 대한 동양과 서양 사상의 비교 고찰, 2016 유교문화연구소 국제학술대회, 성균관 대학교, 서울

2015
• 장-미셸 라바테, “‘시장을 넘어서’: 데리다와 에크프라시스 ekphrasis 의 수행성”, 『 프랑스 연구 』, 51권 2호(몬트리얼 대학 출판부, 2015); 원본 언어: 프랑스어, 번역: 이지은

2014
• 정현, “Conversation with Soun-gui Kim”, Webzine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vol 73, May, 2014, 서울

2012
• 김순기, “당신은 잊을 줄 알아요?”, 누벨 소르본느-파리3대학 와 드니 디드로-파리 7대학 가 주도한 소르본느 파리 시테’의 일환으로 기획, INHA, ‘ 미국 예술을 위한 테라 파운데이션’, ‘미국문화원’, ‘일-드-프랑스 지방 자문위원회’ 그리고 ‘파리시청’의 후원

2011
• Claude Berniolle, “Air de famille de wittgenstein avec Tchouang-Tseu -Sur une idée de Soun Gui Kim”, PLAST IR, n° 25, 2011년 12월호

2008
• “김순기와의 대담(김선정, 오경미, 임보람, 박미연)”, 주식+꽃밭(Stock+Garden), 사무소, 서울
• “이영철과의 대담”, 플랫폼 서울 2008, 서울

2004
• 와이 림 립, “김순기와 ‘大無’의 도가적 지평; 무차별적인 만물의 전체”, 최초 발표: 전시회 ‘과거의 방향을 거꾸로 돌리세: 동아시아 현대예술」 (샌디에고 미술관, 샌디에고, 2004)의 동반 심포지엄, 『같고+다르기: 동아시아에서의 예술, 예술가들, 문화공간』; 원본언어: 영어, 번역: 이현선 (PDF)
• 김순기, “와이-림 입 Wai-Lim Yip과의 대화, 현대 예술과 도가 사상”, 와이 림 립 교수와의 대담(2004.11.6).
최초 발표: 전시회 ‘과거의 방향을 거꾸로 돌리세: 동아시아 현대예술」 (샌디에고 미술관, 샌디에고, 2004) 의 동반 심포지엄,『 같고+다르기: 동아시아에서의 예술, 예술가들, 문화공간』; 원본언어: 영어, 번역: 정명교
• Kang Te-Hee and Betti-Sue Hertz, Past in Reverse: Contemporary Art in East Asia, San Diego Art Museum, 샌 디에고

2003
• 김순기, “시가 빨강에게 묻는다”, 『산은 바다다. 장자와 비트겐슈타인』 (‘흐르는 손’ 출판: 라 수테렌, 2003); 원본 언어: 프랑스어, 번역: 정명교

2002
• “김순기와 자크 데리다, 장-뤽 낭시와의 대담”, 월간미술, 7월호, 서울
• 데리다와 김순기, “세계화의 미래에, 시장을 넘어서 예술이 있을까?”, ‘광주 국제 비엔날레’ (광주, 대한민국)에서 실행된 대담. 2002년 3월 7일 인터뷰, 같은 해 3월 28일 방영, 출판: 『예술 혹은 침묵을 듣기』(DVD 포함, 슬라우트 파운데이션, 필라델피아, 2013); 원본언어: 프랑스어, 번역: 최미경
• 김순기와 장 뤽 낭시의 대담, “현시와 소멸”, 최초 발표: ‘광주 국제 비엔날레’(2002). 2002년 3월28일. 대담언어: 프랑스어, 번역: 최미경

2001
• Claire Nedellec, “Soun-gui Kim”, Art Press, n° 270, 7-8월호., 파리 (PDF)
• 김애령, “바깥과의 호흡 : 김순기”, 아트인컬쳐, 5월호, 서울

2000
• 제롬 상스와 김순기의 대담, “삶의 형식으로서의 유희”, 최초출판: 『봉쥬르 — 김순기』(홍디자인: 서울, 2000); 원본언어: 프랑스어, 번역: 정명교 (PDF)
• 장 뤽 낭시, “의미의 의미들”, 최초출판: 『봉쥬르 김순기』(홍 디자인: 서울 2000); 원본언어: 프랑스어; 번역: 최미경 (PDF)
• Jean Pierre Cometti, “사용법, 혹은 김순기의 특성 없는 예술”, BonJour/김순기, 홍디자인, 서울
• 성완경, “여기, 저기, 어디에나 김순기는 무엇을 가지고 노는가”, BonJour/김순기, 홍디자인, 서울 (PDF)
• 김애령, “작가 탐구, 삶과 죽음에 관한 철학적 사유”, 월간미술, 10월호, 서울

1999
• Jean-Luc Nancy, “김순기 경험하기”, Tympanum, Tympaum, NY (PDF)
• 장 뤽 낭시, “주식거래”, La Maison du Livre d’artistecontemporain, Domart en Ponthieu
• Jean Pierre Cometti, “사용법, 혹은 김순기의 특성 없는 예술”, Particolore, n° 1, 마르세이유
• Jean Pierre Cometti, “사용이 파라독스”, L’Art sans qualité, Farrago, 파리
정기용, “김순기, 시공을 횡단하는 게으른 구름”, 이상건축, 12월호, 서울
• 김순기, “제스처 없이”, 최초출판 : 김순기, 『게으른 구름』(‘흐르는 손 La Main Courante’ 출판: 라 수테렌느 La Souterraine 시(市), 1999, P.24); 원본언어: 프랑스어, 번역: 정명교
• 장 뤽 낭시, “‘어쩌다 보니’ 혹은 ‘가치에 가치를 더 해가는 작용’ Vaille que vaille”, 최초출판: 전시회 『주식거래』 (LAC 하우스, : 도마르-앙-퐁티외 Domart-en-Ponthieu, 1999); 원본언어: 프랑스어, 번역: 정명교

1998
• 이브 미쇼, “김순기의 비-장소”, Sarajévo2000, 최초출판: 「사라예보 2000」 전시 카탈로그, 루드비히 현대예술기부재단, 비인, 1998-1999; 원본 언어: 프랑스어, 번역: 정명교 (PDF)

1997
• 안상수, “김순기와의 대담”, 보고서-보고서, 안그라픽스, 서울
• 장 뤽 낭시, “‘순기 경험’ (Experience Soun-gui)”, 최초출판: 『김순기 모노그라피 II』 (석전: 레 에르벵, 1997); 원본언어: 프랑스어, 번역 : 배유선
• 장 피에르 코메티, “사용법, 혹은 김순기의 특성 없는 예술”, 최초출판: 『김순기 모노그라피 II』 (석전: 레 에르벵, 1997); 원본 언어: 프랑스어, 번역: 정명교
• Jean Marc Hutorel, Photographie d’une collection 2, Hazan, 파리
• 김순기, “멀티미디어 아트에 대하여”, 최초출판: 『김순기 모노그라피 II』 (석전: 레 에르벵, 1997) ); 원본언어: 프랑스어, 번역: 정과리

1996
• Sylvie Timbert, “Pas de paysage, mais juste un passage, Soun-gui Kim”, Revue d’Esthétique, Nouvelle Série, n° 2, 파리

1995
• Sylvie Timbert, “Soun-Gui Kim ou les devenirs corps-composite de l’Unique Trait du Pinceau”, 박사논문, Philosophy esthetics, l’University of Nice–Sophia Antipolis, 니스
• 김순기, “텅빔과 침묵”, 「연구소의 목요일: 무용과 공간들」, ‘국립 파리-바스티유 오페라, 라 빌레트 홀’에서 1995년 3월 16일 발표, 최초출판: 『김순기 모노그라피 II』 (석전: 레 에르벵, 1997); 원본언어: 프랑스어, 번역: 정명교
• 김순기, “큰 이미지는 형태가 없다”, 최초출판: 『김순기 모노그라피 II』 (석전: 레 에르벵, 1997); 원본언어: 프랑스어, 번역: 정명교

1992
• 유진상, “김순기”, 월간미술, 9월호, 서울
• 김홍희, “김순기”, The Seoul Fluxus, API 편집, 서울
• 정장열, “김순기”, 주간조선, 8월호, 서울

1989
• Clio Mitchell, “Instant Myth”, Art International, feb., 런던
• Anne Coquelin, “Eau-Pierre”, Esthétique, 신연간 봄89호, 파리
• Dominique Païni, “Soun-Gui Kim”, Art Press 138호, 7-8월호, 파리
• Suzuki Hidénobu & Sylvie Timbert, “Jardin de pierres de Soun-gui Kim”, Music Today, Quartely, ARC, 도쿄

1988
• 다니엘 샤를르, “하나와 다수”, 최초출판: 『김순기 모노그라피』 (‘석전’ 출판: 레 에르벵 Les Herbins, 1988); 원본언어: 프랑스어, 번역: 정명교
• Sylvie Timbert, “김순기, 시간의 나눔과 이음”, Monographie I, Sock-Jon, Les Herbins
• Charles Dréfus, “Soun-Gui Kim, Poétique de la Multiplicité”, Kanal Magazine, n° 36-37-38, 파리

1987
• Daniel Charles, “한 개의 귀는 존재하지 않는다”(John Cage), Ars Electronica, Festival fürKunst, Technologie und Gesellschaft-Linz, 린츠, 오스트리아
• Sylvie Timbert, “김순기, 거북이, 카멜레온, 용 이야기”, 파리 3대학, 파리

1986
• Daniel Charles, “김순기와 시간의 조각”, Vidéo Multimédia/ Soun-Gui Kim et ses Invités 도록, IMEREC, 마르세이유
• 김순기, “0 = 비디오”, 최초출판:『미학Esthétique 誌 』, 신연간 10호, 특집호, « 비디오-비디오 (Vidéo-Vidéo) », 1986, 프리바 편집, 툴르즈, P.61; 원본언어: 프랑스어
• 김순기, “소리의 맛”, 장-뤽 낭시의 「의미의 의미들」에 대한 응답, 최초출판: 『봉쥬르 — 김순기』(홍디자인: 서울, 2000); 원본언어: 프랑스어, 번역: 정명교

1982
• 김순기, “백남준과의 대화”, 김순기와의 만남: 글모음, 1975-2021, Slought, 필라델피아
• 백남준과의 대화, “봉쥬르 백남준”, 최초출판: 『봉쥬르 백남준 1』(김순기 귀속본 DVD, 1982) 내 자료영상

1977
• 김치수, “김순기와의 대화”, 서울신문, 8월 30일자, 서울
• 박송자, “미술에서 시공간과 언어에 관한 질문: 김순기와의 대화”, 공간, 123호, 서울

1975
• 아를레 라모스 모레노, “김순기의 예술”, 최초출판: ‘김순기 미술제’(서울 미국문화원, 1975년) 카탈로그에 수록; 원본언어: 불어, 번역: 곽광수
• 박한식, “Space 75, 보고서”, 공간, 101호, 10-11월호, 서울
• 박용구, “Space 75”, 조선일보, 10월 5일자, 서울

1974
• Sylvie Dupuy, “Octobre à Bordeaux”, Art Press, n° 8, 12-1월호, 파리

1973
• Pierre Paret, “Octobre à Bordeaux”, Sud-Ouest, 10월 5-8일자, 보르도